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|
import sys
a=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
b=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
ansa=0
ansb=0
acnt=0
bcnt=0
for i in range(10):
if a[i]>b[i]:ansa+=3; acnt=i
if a[i] < b[i]: ansb += 3; bcnt=i
if a[i] == b[i]: ansa += 1; ansb+=1
if ansa>ansb: print("%d %d"%(ansa,ansb));print("A")
if ansa<ansb: print("%d %d"%(ansa,ansb));print("B")
if ansa==ansb:
if ansa==ansb and ansa==10:
print("10 10")
print("D")
else:
if acnt > bcnt: print("%d %d"%(ansa,ansb));print("A")
if acnt < bcnt: print("%d %d"%(ansa,ansb));print("B")
|
cs |
문제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.
다만, """10번의 라운드가 모두 진행된 후, 총 승점이 큰 사람이 게임의 승자가 된다. 만약, A와 B의 총 승점이 같은 경우에는, 제일 마지막에 이긴 사람을 게임의 승자로 정한다. 그래도 승부가 나지 않는 경우는 모든 라운드에서 비기는 경우뿐이고 이 경우에 두 사람은 비겼다고 한다 """
예외 처리에 대한 문장을 안읽고 풀어서 왜 자꾸 틀리지 여러차례 시도 했던 기억이 납니다.
반응형
댓글